![](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qOSEN/btqECinNmvT/6VB6fXqT1kM4BLJIMl9sC1/img.jpg)
안녕하세요 탐구소년입니다. 프로그램 코드 작성을 위한 여러가지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코드 편집기를 알고 계시나요? 오늘은 여러 종류의 코드 편집기 중에서도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이하 VSCODE)의 다운로드 및 설치방법에 대해서 준비해봤습니다. VSCODE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만든 코드 편집기입니다. VSCODE는 다운로드는 아래의 링크에서 가능합니다. https://code.visualstudio.com/ 링크를 타고 들어가시면, 위와 같은 페이지가 펼쳐집니다. 위 이미지를 기준으로, 왼편의 가운데 쯤에 있는 파란색 'Download for Windows 버튼을 누르시면 설치가 시작됩니다. 당연히 윈도우를 사용하지 않으시는 경우 버튼..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o2hhd/btqEimcZSIh/UN9GPXkWFpVxnPt6OTrPC1/img.png)
안녕하세요 탐구소년입니다. 일 때문에 CSS 속성을 정리할 일이 좀 있었는데, 그 김에 정리한 내용 중 일부를 블로그에 업로드하려고 합니다. 업로드할 내용은 CSS의 선택자 중에서도 '속성 선택자'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 [속성] 선택자 : 지정한 속성에 스타일 적용하기 특정 태그가 특정 속성을 가지고 있을 시 스타일을 적용합니다. 위의 예에서는 a 태그가 href 속성을 가지고 있을 경우에만 a 태그에 tomato 색을 지정한다는 내용의 스타일 코드가 작성되어 있습니다. - [속성=값] 선택자 : 특정 값을 갖는 속성에 스타일 적용하기 위의 예에서는 href 속성에 네이버 주소가 지정되어 있는 a 태그에 대해서만 스타일 코드가 적용되었습니다. - [속성*=값] 선택자 : 특정 값이 포함된 속성에 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zgxnq/btqEg2lK8Nf/WEnkBDNooiC5XeQGyXAJU1/img.png)
안녕하세요 탐구소년입니다. 오늘은 파이썬으로 웹 크롤링하는 방법에 대한 글을 준비했습니다. 잠깐 짬이 나서 쓰는 글이기 때문에 복잡한 내용을 다루기에는 약간 부담이 있으므로.. 웹 크롤링의 개념과, 기본적인 접근 방법, 그리고 간단한 예제 코드 순서로 아주 간단하게만!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웹 크롤링이란? 웹 상에 있는 데이터들을 잘 긁어오는 기술을 크롤링이라고 합니다. 인터넷 사이트들을 돌아다니며 필요한 정보를 자동, 반자동으로 획득하는 행위(?)를 웹 크롤링이라고 하는 거죠. 그러한 행위를 위해서는 역시(!) 그러한 처리를 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하겠죠. 이때 그런 역할을 처리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웹 크롤러'라고 하고요. 이 웹 크롤러를 사용하는 행위를 웹 크롤링이라고 하면 되겠습니..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9V4Ki/btqDweH0vvg/kwzxkK70ecoyD7axRPUREK/img.jpg)
안녕하세요 탐구소년입니다. 오랜만에 글을 작성하는데요. 이전 글에 이어서 오늘도 파이썬 예제입니다. 오늘의 예제는 딕셔너리를 응용한 예제입니다. 딕셔너리란? 파이썬 데이터 타입 중 하나로,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한꺼번에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 타입입니다. 각 항목과 항목별 데이터를 하나의 요소로서 함께 관리할 수 있는 무척 편리하고 유용한 데이터 타입입니다. 딕셔너리는 기본적으로 중괄호({}) 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묶는 형태를 띄며, 키(key)와 밸류(value)가 하나의 아이템(item)을 구성하게 됩니다. 딕셔너리의 예 dict = { 1: 'item1', 2: 'item2' } 위의 예에서 1과 2가 키(key)의 역할이고, 'item1'과 'item2'가 밸류(value)의 역할입니다. 각 아이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