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6FyGf/btqCNazyJrc/dvrhV14QAQtsGQKMiBx9xk/img.png)
안녕하세요 탐구소년입니다. 오늘은 웹접근성을 고려하여 HTML 코드를 작성할 때 지켜주면 좋은 사항 몇 가지를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각종 문서와 블로그의 글들을 활용하여 정리한 내용을 나름대로 정리하여 올린 것이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1. 크로스 브라우징이 가능하도록 한다. 크로스 브라우징이란? 크로스 브라우징이란, 웹표준 기술을 적용하여 웹페이지가 서로 다른 운영체제나 플랫폼에서 이상없이 구현되도록 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설명 크로스 브라우징이란 브라우저의 종류에 상관없이 웹사이트의 레이아웃이나 이미지, 데이터 등이 동일하게 보여지게 하는 상호 호환성에 대한 기술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이는 웹사이트를 개발하는 데 있어 상당히 중요한 개념이자 기술입니다. 참고자..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R15V2/btqClx9Sd7i/6mWHw2sv2WkEIxq8GEuqI1/img.jpg)
안녕하세요 탐구소년입니다. 오늘은 웹 개발을 공부하시는 분들이 자주 접하실 법한 단어, '웹 접근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웹 접근성 사전적 의미(를 좀 더 쉽게 풀어서)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이란 장애를 가진 사람과 장애를 가지지 않은 사람 모두가 웹사이트를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을 말합니다. 사이트가 올바르게 설계되어 개발되고 편집되어 있을 때 모든 사용자들은 정보와 기능에 동등하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웹 접근성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시각적, 체력력, 청각적 능력들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설명! 웹 접근성은 웹사이트를 만들 때에 적용되는 기술이자 한 개념입니다. 웹 접근성의 철학은 "어떤 장애가 있더라도 웹 사이트를 사용하는 데 불편이 있어서는 안 된다"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