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qUpQH/btqMM5nNB7G/FFUGiCdRPk2of9PvskEPz1/img.jpg)
프론트엔드 개발자 기술면접시 나올 수 있는 몇 가지 질문에 대해 정리해 봄 http 와 https 의 차이 http 는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의(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써, 서로 다른 시스템들 사이에서 통신을 주고받게 해주는 가장 기초적인 프로토콜이다. https 는 기존 http에 보안(security)이 추가된 것으로, 서버에서 브라우저로 전송되는 정보가 암호화되지 않는 http의 약점을 보완한 프로토콜이다. HTTPS 프로토콜은 SSL(보안 소켓 계층)을 사용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했는데, SSL은 서버와 브라우저 사이에 안전하게 암호화된 연결을 만들 수 있게 도와주고, 서버 브라우저가 민감한 정보를 주고받을 때 이것이 도난당하는 것을 막아주는 인증서 소프트..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Oihm2/btqKgE0s8xw/C5eqnaZ86YOgk1YKDL4y1k/img.jpg)
C언어 기본 자료형의 앞에는 경우에 따라 unsigned 라는 키워드를 붙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unsigned란 '부호가 없는'이라는 의미인데, 이에 대해 간단히 예를 들어가며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초간단 주의!). 데이터의 표현 방식 자료형이란 언어가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식으로써, 자료형마다 값을 표현하는 방식과 표현할 수 있는 값의 범위가 서로 다릅니다. 가령 int라는 자료형을 사용한다고 하면, 표현할수 있는 값의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int 자료형이 표현할 수 있는 값의 범위 : –2,147,483,648 ~ 2,147,483,647 int 는 4바이트 만큼의 메모리 공간을 차지하는 자료형입니다. 바이트는 8개의 비트가 모여 형성되는 단위이므로, int는 32비트 자료형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ATCGb/btqJzsrOEXF/SM3oGoViChdQtdvPD4XLUk/img.png)
리액트를 사용해 차트를 표시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의 종류는 무척 다양합니다. 여기에서는 그 중에서도 사용이 간편하고 많은 분들에게 비교적 친숙할 만한 라이브러리를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바스크립트나 제이쿼리를 학습하시는 분들이 많이 사용하시는 차트 라이브러리 중에 Chart.js라는 것이 있습니다. 여기에서 사용해볼 리액트 라이브러리인 react-chartjs-2는 Chart.js의 리액트 래퍼라고 소개되어 있는 라이브러리로써, 쉽게 말해 Chart.js를 통해 그려진 차트를 리액트 앱으로 렌더링할 수 있도록 해주는 라이브러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차트를 표시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방법이나 흐름은 기존 Chart.js의 방식과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그럼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에 앞서 설치를 ..